본문 바로가기

일상 정보

트럼프 해외제작 영화 관세 선언, 할리우드 글로벌 제작 타격

    관세 폭탄의 배경과 내용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이번 조치는 철강·알루미늄에 쓰였던 ‘232조(안보 예외)’ 논리를 문화산업으로 확장한 사례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 글을 통해 “할리우드가 외국 정부의 세제 인센티브에 잠식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상무부·USTR에 절차 개시를 지시했습니다.

     

    문제는 ‘해외 제작’의 정의가 불명확하다는 점입니다. 시나리오는 LA에서, 촬영은 캐나다·영국에서, 후반 작업은 다시 캘리포니아에서 이뤄지는 블록버스터라면 관세 대상일까요? 업계에서는 관세 부과 지점(극장 티켓·OTT 스트리밍·디스크 수입 등)과 징수 방식이 안개 속이라고 지적합니다. 실제 집행까지 90일 이상 공청회가 필요해 ‘엄포용’이라는 시각도 만만치 않습니다. 그러나 일단 절차가 시작됐다는 사실만으로 투자사와 배급사의 자금 흐름은 출렁이기 시작했습니다.


    국적 없는 제작 현실

    요즘 슈퍼히어로 영화 한 편에는 세계 곳곳에 흩어진 특수효과(VFX)·세트·음향 전문사 여섯 곳 이상이 참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올해 최고 흥행작으로 꼽히는 ‘마인크래프트 무비’가 전부 캐나다에서 촬영됐고,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역시 대부분을 노르웨이·UAE에서 소화했습니다. 디즈니 마블은 차기 ‘어벤져스’ 2편을 영국 파인우드 스튜디오에서 촬영 중이죠.

     

    이처럼 생산비 절감 + 현지 세액공제가 결합된 ‘글로컬(Global+Local) 제작’ 모델을 관세로 되돌리기는 쉽지 않습니다. 오히려 미국 자본이 투입된 작품도 해외 촬영을 했다는 이유로 100%의 추가 세금을 물어야 하는 역설이 발생합니다. 캐나다·영국·호주가 수십 년간 구축한 ‘할리우드 대체 스튜디오’ 생태계가 당장 위축될 가능성도 제기되지만, 동시에 미국 내부 인프라가 가격·규제 측면에서 경쟁력을 회복해야 한다는 근본 과제가 드러났습니다.


    할리우드의 구조적 위기와 관세 카드의 한계

    할리우드는 이미 거대한 구조 전환의 갈림길에 서 있습니다. 필름LA 자료에 따르면, LA 지역 영화·TV 제작 건수는 최근 10년간 약 40% 감소했습니다. 대형 산불·노조 파업·부동산 비용 급등이 겹치며 제작사는 벤쿠버·애틀랜타·부다페스트로 이동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가 “역송출(逆輸出)되는 자국 영화”에까지 적용된다면, 제작사는 본인 작품에 자국세를 두 번 물어야 하는 셈입니다. 할리우드 노조(AMPTP)는 “결국 손해는 제작 현장 노동자와 중소 프로덕션이 본다”며 집단 행동을 예고했으며, 메이저 스튜디오 CEO들도 백악관에 유예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안보 명분으로 예외를 주기 어려운 ‘100% 일률 과세’ 구조가 협상 카드로서도 파괴력이 제한적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문화 무역 전쟁으로 번지는 관세 갈등

    이번 조치는 지난해 중국 영화국이 예고한 “할리우드 수입 제한”과 맞물려 있습니다. 중국은 미국의 145% 고율 관세에 대한 보복으로 할리우드 상영 쿼터를 축소하겠다고 공언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왜 내가 먼저 관세를 내리겠느냐”고 맞받았습니다.

     

    문제는 문화 상품이 ‘정치·외교·브랜드 파워’와 직결돼 있다는 점입니다. 1930년대부터 이어진 ‘헐리우드 외교’(Hollywood Diplomacy)는 미국 소프트파워의 핵심 축이었지만, 이번 조치로 친미 정서 약화 → OTT 시장 점유율 하락이라는 부메랑이 돌아올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EU·호주·캐나다는 이미 WTO 제소를 검토 중이며, ‘문화 예외(Cultural Exception)’를 주장하며 연대한 경험이 있는 만큼 다자(多者)분쟁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국 영화 · OTT 시장에 미칠 파장과 대응 전략

    한국 콘텐츠 업계는 이슈를 ‘위기이자 기회’로 보고 있습니다. 미국 배급사가 해외 촬영을 꺼리면 K‑콘텐츠의 글로벌 공동제작 협상력이 상대적으로 올라갈 수 있습니다. 반대로, 미국 내 관세 부담이 커지면 한국 대작의 북미 개봉 비용이 상승해 수익 분배가 악화될 수도 있습니다.


    OTT 플랫폼 측면에선 관세가 극장·물리적 미디어 수입에 집중된다면 온라인 배급은 예외될 가능성이 커, 넷플릭스·디즈니+ 코리아 등에는 단기 호재가 될 수 있습니다. 정부 차원에선 ①FTA 문화협력 조항 활용, ②공동제작 인센티브 확대, ③해외 로케이션 유치 세액공제 유지 등을 통해 ‘포스트 관세시대’ 협상 테이블에 선제적으로 올라타야 한다는 목소리가 큽니다. 제작사·투자사라면 환율 변동과 관세 리스크를 반영해 북미 판권 계약서에 조정 조항을 필수로 넣어야 합니다.


    관세로 할리우드를 구한다

    표면적으로 그럴듯하지만, 실무를 뜯어보면 글로벌 밸류체인 전체를 흔드는 고비용·저효율 카드입니다. 해외 로케이션에 의존해온 메이저 스튜디오는 물론, 한국을 포함한 파트너 국가들까지 후폭풍이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