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재해 신청
산재란? 일하다 다쳤다면 산재 일 수 있습니다.
산업재해는 말 그대로 산업 현장에서 일하다가 다치거나 병을 얻은 것을 뜻합니다. 그런데, 막상 다쳤을 때 바로 산재 처리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몰라서 개인 비용으로 치료받거나, 치료 자체를 포기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산재의 개념부터 신청 절차, 보상 내용까지 꼭 알아야 할 내용을 정리해드립니다.
사고와 질병으로 구분하는 산업재해
산재는 한자로 '산업재해(産業災害)'의 줄임말로, 근로자가 업무 중 또는 업무로 인해 발생한 부상, 질병, 장애, 사망 등을 말합니다.
산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 업무상 사고: 기계에 다쳤다든지, 낙상, 절단, 타박 등 명확한 사고가 발생한 경우
- 업무상 질병: 반복 작업, 무리한 동작 등으로 발생한 만성질환 또는 직업병
산재 신청 할 수 있는 대상
산재신청은 누구나 가능할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회사의 승인 없이 산재 신청을 할 수 없다는 인식이 있었지만, 현재는 근로자 본인이 직접 신청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돼 있습니다.
개인의 경우, 아래 신청화면에서 [산재보험 심사청구서 작성], [산재신청 대행요청] 두 가지 방법으로 직접 또는 대행으로 산업재해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회사가 사업장 관리번호를 병원에 알려주지 않는 경우, 병원을 통한 위임신청은 어렵고, 직접 근로복지공단을 방문해야 합니다.
산업재해 신청 순서
첫 번째, 병원 방문 후 치료
- 외상이나 통증이 있다면 우선 병원에 방문해 진료를 받습니다.
두 번째, 최초요양신청서 작성
- 병원에서 ‘최초요양신청서’를 작성하고, 의사의 소견서를 첨부하여 제출합니다.
- 병원 원무과 또는 업무지원팀이 산재 위임 신청을 도와줄 수 있습니다.
세 번째, 근로복지공단에 신청
- 병원을 통해 신청하거나, 본인이 직접 근로복지공단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질병 유형에 따라 심사 기간이 다를 수 있습니다.
산업재해 신청 보상받을 수 있는 항목
휴업급여
- 치료 중 일을 못 해서 생기는 소득 손실을 보상
- 평균임금의 70%를 매일 단위로 지급
요양비
- 병원 치료비 중 급여 항목에 해당하는 부분의 약 40%를 환급
- 비급여 항목(도수치료, 비급여 MRI 등)은 보상 제외
산업재해 신청 사고 질병 차이점
구분 | 사고 업무상 | 질병 |
정의 | 외부 충격으로 인한 사고 (넘어짐, 절단 등) | 반복작업, 누적된 부담으로 생긴 질환 (허리디스크, 손목터널증후군 등) |
심사 기간 | 비교적 짧음 (1~2개월) | 최대 6개월~1년 이상 소요 가능 |
신청 방식 | 비교적 간단 | 의무기록, 직무자료 등 추가 증빙 필요 |
산업재해 신청 QnA
- 회사에서 안 해주면 산재 못 해요 → X. 직접 신청 가능합니다.
- 자동차 보험처럼 병원에서 바로 산재 적용되나요?→ X. 최초요양신청서와 공단 심사 후 승인돼야 적용됩니다.
- 다치면 무조건 산재가 되는 거죠? → X. 업무 관련성이 있어야 하며, 공단의 심사를 통과해야 합니다.
'일상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신사 eSIM 전환 후 남은 유심, 꼭 바꿔야 할까? (1) | 2025.04.29 |
---|---|
차상위계층 혜택 총정리 의료비 교육비 알아보기 (0) | 2025.04.28 |
개인파산 신청자격 꼭 알아야할 6가지 자격조건 (1) | 2025.04.26 |
HD 현대중공업 조선 수주 관련주 수혜 기업 (0) | 2025.04.25 |
보청기 국가보조금지원 신청하고 지원금 받기 (0) | 2025.04.24 |